고급 google 애널리틱스 수업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이용하세요 :)
1. 데이터 수집 및 처리
1.1 Google 애널리틱스 데이터 수집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웹사이트 데이터 수집은 데이터를 수집할 웹사이트 페이지에 삽입되는 자바스크립트 추적코드에서 시작된다.
이 추적코드는 모든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추적한다. (페이지 로드, 동영상 재생 버튼, 링크 클릭 등)
도메인이 사이트로 지정된다.
웹사이트와 관련 하위 도메인의 쿠키를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설치한다. (단일 웹사이트 URL 도메인 또는 하위 도메인의 트래픽을 쉽게 추적할 수 있다.)
도메인이 다른 페이지에 동일한 기본 추적 코드를 설치하면 애널리틱스에서 사용자와 세션을 별도로 집계하며, 여러 도메인에 걸쳐서 사용자를 추적하려면 교차 도메인 추적을 설정해야 한다.
구글 애널리틱스의 '조회'(HIT)는 사용자와 관련된 유용한 정보의 매개변수가 있는 URL 문자열이다.
URL 분석시 기기, 해상도, ID, 언어 등 많은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걸로 신규 사용자와 재사용자의 구분이 가능하다.
HIT(조회)는 세가지가 존재한다.
1. Pageview hit
일반적 유형
추적 코드가 삽입된 페이지를 사용자가 열 때마다 새로운 페이지뷰 조회 전송
2. Event hit
특이한 행동 시 전송. (동영상 재생 버튼, 특정 URL, 제품 목록 등)
-이 이벤트 조회로
Action
Category
Label
Value
이렇게 4개의 데이터 매개변수가 전송된다. 이러한 매개변수로 상호작용 분류 가능.
3. Transaction hit
거래 조회 (전자 상거래 조회)
전자상거래 구매 관련 데이터, 구매한 제품, 거래 ID, 재고 보관 단위 (SKU) 등을 애널리틱스로 전송가능.
Product Category, Products Added/Removed, Product views 등을 볼 수 있다.
1.2 사용자 및 세션 분류하기
1. New vs Returning Users
기존 아이디를 쿠키 읽다가 발견하면 기존사용자로 분류.
사용자 구분시 주의사항
애널리틱스가 세션에서 브라우저 쿠키를 통해 고유한 사용자 인식하므로 웹브라우저에서 쿠키가 삭제 또는 차단 되면 사용자 정보는 사라진다. 동일한 기기의 동일한 아이디를 추적하기에 여러 기기에서 사용자 추적을 원하면 User ID 기능을 사용해야 한다.
2. Sessions
웹사이트에서의 사용자 참여 수준 파악하기 위해 조회 생성 시간에 기초해서 조회를 분류
'세션수'로 측정한다.
사용자가 추적코드 페이지로 이동시 세션 시작되고 페이지뷰 조회가 생성되고 30분 동안 기록된다.
ex) 언제 조회가 세션으로 분류되나?
사용자가 Google 매장 홈페이지 들어간 다음 바로 나감 -> 오 조회 1회 발생했네~
사용자가 홈페이지 들어가서 동영상 재생 버튼 클릭해서 '이벤트'조회가 실행되는 경우 -> 와 이건 2회의 조회야 이벤트 발생했어~
홉페이지 들어가서 새탭을 즉시 열어서 다른 웹사이트 조회하고 여기에서 30분 넘게 있다가 다시 돌아와서 동영상 버튼 클릭함 -> 30분 지났으니까 두번이야~ 조회 2회야~
세션 제한시간은 설정 가능
3. Other data sources
추적 코드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가 지정된 다른 소스와 연결
-Measurement Protocol
측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POS(판매 지점), 웹 연결 키오스트 같은 웹 연결 기기 데이터를 ga로 전송가능
자동으로 조회를 전송하는 추적 코드와 달리 url 문자열을 통해 직접 전송해야한다.
-Account Linking
애드워즈, 애드센스, google search console 등 다른 데이터 도구들도 연결 가능
1.3 구성 설정 적용하기
Apply configuration rules
-data filters
원하는 국가 만보기 내부 트래픽 제거 등이 가능
-Goals
4가지 타입 존재
Destination/Pageviews
Event
Duration (일정시간 머무는게 목표)
Pages/Screens per Session
-Data Grouping
맞춤 채널로 데이터 그룹 content도 그룹핑 가능
-Custom Dimensions (맞춤 측정 항목)
맞춤 측정항목 이용시 비지니스에 해당하는 측정항목 데이터 그룹을 지정한 후 이를 보고서 전체에서 측정 기준으로 적용 가능
맞춤 측정기준은 보고서의 보조 측정기준, 맞춤 보고서의 기본 측정기준, 또는 세그먼트로 사용 가능
-Custome Metrics
맞춤 측정항목
표준 측정 기준이나 Google 애널리틱스에서 사전 정의 측정 항목으로 측정할 수 없는 맞춤 측정기준을 통해 수집 가능
-Imported Data
자체 데이터 업로드도 가능
데이터 처리되기전에 구성 규칙 설정해야한다. 데이터 처리 완료된 다음에는 해당 데이터 정보 구성 설정 소급해서 적용이 불가하다.
1.4 데이터 저장하기 및 보고서 만들기
측정항목 두가지로 집계
총 세션수, 사용자수, 페이지뷰 처럼 통합 집계
구체적인 측정 기준으로 집계
-Time on Page
페이지에 머문 시간
페이지뷰 조회의 시각을 포착한 후 이를 다음 페이지뷰 조회의 시각에서 빼는 방식으로 계산
-Pages / Session
세션당 페이지수
사용자가 세션에서 발생시킨 순 페이지뷰 조회수의 평균값
-Avg. Session Duration
평균 세션 시간
사용자가 사이트를 떠나거나 세션의 제한 시간 종료되기 전에 첫 번째 조회부터 마지막 조회까지 이어진 평균 시간
-Bounce Rate
이탈률
세션 시간이나 페이지에 머문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사이트에서 두 번째 상호작용 없이 상호작용을 한 번만 발생시킨 사용자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계산
애널리틱스는 데이터 처리 중에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을 생성할 때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이 데이터에 적용되는 범위를 정해야 한다. 단일 조회에 대한 데이터를 구성하는 측정기준/ 전체 세션이나 개별 사용자의 데이터에 적용되는 측정 기준도 존재.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에 적용되는 범위에는 조회 수준 세션 수준 사용자 수준이 존재
Hit level - 예를 들어 Page title (조회가 발생할 때마다 변경) 가능 Total sessions(각 세션이 종류될 때마다 변경) 은 불가능
Session level
User Level
데이터 처리시 각 측정 기준 및 즉정항목에 적용할 범위 지정, 범위가 동일한 측정기준과 측정항목만 쌍으로 연결 가능.
구글 애널리틱스의 표준 보고서에서 범위 동일한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은 자동으로 연결되지만 직접 만든 맞춤 측정 기준과 맞춤 측정항목의 범위는 직접 설정해야 한다.
구글 애널리틱스가 측정 기준과 이에 연결된 측정항목을 정하면 계정에서 고유 속정 ID와 필터링 되지 않은 원본 데이터를 연결한다. 생성된 보고서 보기별로 필터 및 구성 설정이 적용된 데이터가 '통합'데이터 표에 추가된다.
이 표들에서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진다. (통합 표는 애널리틱스의 표준 보고서를 신속하게 보여주기 위해 사용)
1.5 측정 계획 수립하기
비즈니스 목표와 성과 측정 방법 정하자
예시 : 미시전환(뉴스레터신청) -> 거시전환 (해당 사이트에서 구매)
문제 답
참 / 조회 /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로드할 때마다 / 사용자가 이벤트 추적을 사용하는 액션을 수행할 때마다 / 브라우저 쿠키, 임의로 할당된 고유 식별자 / 애널리틱스가 추적 코드~ , 다음에 브라우저에서~ / 거짓 / 30 / 측정 프로토콜 / 1 / 도착페이지, 세션당~, 기간 / 거짓 / 조회수준, 세션 수준, 사용자 수준 범위 / 비즈니스 목표 주요액션 kpi / 사용자가 수행하는 주요 웹사이트~
'WORK >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IQ 고급 2. 데이터 수집 및 구성 설정 (0) | 2022.10.17 |
---|---|
전략적 제휴란? (0) | 2022.07.06 |
UTM 뜻, 목적, 변수정의, 유의사항 (0) | 2022.07.04 |